방귀벌레가 두꺼비 뱃속에서 100°C 화학물질 쏟아내는 이유

박홍규 기자
업데이트 2018-02-08 09:56
입력 2018-02-08 09:55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 확대
유튜브 영상 캡처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몸 길이 6~12mm의 딱정벌레과 곤충으로 알려진 방귀벌레가 두꺼비에게 산 채로 먹힌다. 하지만 방귀벌레는 이 포식자 위 속에 유독 화학 물질을 분사하여 두꺼비로 하여금 자신을 토해내도록 한다. 이 놀라운 모습을 지난 7일(현지시각) 외신 데일리메일리 소개했다.

말이 필요 없다. 영상을 보면 그 곤충의 놀라운 생존력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험실 안에서 촬영된 영상엔 방귀벌레가 두꺼비에게 쉽게 잡아 먹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소화를 마친 것처럼 보이는 두꺼비가 위를 뒤집어 먹은 것을 토해 낸다. 먹이를 급히 먹어 체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위 속에 있었던 방귀벌레가 가진 ‘필사의 무기’로 토해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에게 잡아 먹힌 방귀벌레 절반 이상이 12분~107분 사이에 ‘탈출’ 한다고 한다. 더 놀라운 것은 한 번 잡아 먹혔던 벌레 대부분이 살아 있었고, 죽었다 살아난 그 ‘끔찍한 경험’이 대수롭지 않은 듯 정상적으로 살아가는데 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고베(Kobe) 대학 신지 스기우라(Shinji Sugiura) 박사는 “이 딱정벌레과 곤충은 두꺼비의 소화액에 대한 내성을 높이도록 진화되어 왔다”고 말한다. 두꺼비가 토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방귀벌레가 뿜어댄 100°C 유독성 퀴논(quinone)과 수증기라고 불리는 끓는 화학 물질이 두꺼비로 하여금 이 벌레를 토하게 만드는 모습(유튜브 영상 캡처)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그들은 실험실에서 방귀벌레를 쉽게 삼킬 수 있는 부포(Bufo) 속(屬) 한 종류인 두꺼비를 연구했다. 평균적으로 방귀벌레를 삼킨 두꺼비는 44분 만에 토해 냈으며 ‘부활’한 방귀벌레는 매우 활동적인 움직임을 보인 다는 것을 연구진은 확인했다. 매도 맞아 본 놈이 안다고, 모든 두꺼비에겐 그들이 토해낸 방귀벌레는 더 이상 먹이로 생각되지 않는다고 한다.

방귀벌레 몸은 두 개로 분리된 부분에 각 각 특유한 화학물질은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적으로부터 위협을 받게 되면 몸 한 부분으로 이 화학 물질을 하나로 모을 수 있다. 그들 스스로에게는 무해한 이 화학물질이 함께 반응하게 되면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인간의 피부를 더럽히고 눈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합쳐진 화학물질은 일부 액체를 기화시켜 약 100°C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방귀벌레를 먹은 두꺼비는 그를 토해내기 위해 뱃 속 위를 스스로 뒤집어야 한다. 먹이를 토해 내는 데 시간이 적지 않게 걸리는 이유다.

스기우라 박사는 “양서류는 먹이를 삼킨 직후 매우 강한 위산을 뿌려 위 속에서 죽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살아남기가 힘들다. 하지만 이 방귀벌레는 두꺼비의 강력한 위산으로부터 오랜기간 적응하며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큰 방귀벌레들이 작은 방귀벌레들보다 더 많이 두꺼비의 뱃 속으로 부터 ‘탈출’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작은 두꺼비들이 큰 두꺼비들보다 벌레들을 토해내는 빈도수가 많았다”며 “이것은 큰 방귀벌레가 더 많은 화학물질을 뿜어낼수 있고, 작은 두꺼비들은 이러한 화학 물질에 내성이 약하다”는 걸 뜻한다고 말했다.



사진·영상=Guardian News/유튜브

박홍규 기자 gophk@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