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공생하는 경제모델 없을까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업데이트 2018-01-19 23:12
입력 2018-01-19 22:32
자연자본/제프리 힐 지음/이동구 옮김/여문책/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농작물 재배뿐 아니라 생태계 유지에 절대적인 가루받이 곤충 ‘꿀벌’의 경제적 가치는 14조 달러나 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4년 안에 멸종한다고 단언했다. 1㎢의 맹그로브숲은 300만 달러이고, 탄소의 사회적 비용을 기준으로 전 세계 숲은 2620억 달러 가치와 맞먹는다. 자연자본(Natural capital)은 금융자본, 물적자본, 인적자본 등 어떤 형태의 자본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돈’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영국 태생의 환경경제학자 제프리 힐은 환경 문제는 철저하게 경제적인 문제임을 지적한다.

인간이 자연의 가치를 과소평가하면서 자연과 인류의 공생은 무너져 내렸고, 이는 오롯이 인간에게 부메랑으로 되돌아오고 있다. 대표적인 게 미세먼지 같은 ‘외부효과’다. 누군가의 행동이 제3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비용이나 편익의 측면에서 분석한 경제학 용어로, 공해 같은 게 외부비용을 초래하는 전형적 외부효과에 해당된다. 인류는 그동안 경제성장을 위한 일정 부분의 환경 파괴는 불가피하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지금 경제를 굴리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우리가 마시고 있다. 금전적 비용뿐 아니라 각종 질환과 고통, 생산성 저하 등은 비용으로 환산하면 어마어마할 것이다.

저자는 기존 경제학이 제시하지 않는 다른 ‘인식 틀’을 제시한다. 환경을 보호하는 게 우리를 부유하게 만드는 것이며,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이 상호 충돌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그가 ‘자연자본’의 가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제모델을 전환하는 길을 모색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자는 ‘공유지의 비극’에만 머물지 않고 죽음의 바다, 수산물 남획과 산호초 파괴, 습지 개간, 항생제 내성, 오존층 파괴 등 다양한 외부효과를 경고하며, 자연자본을 이용한 자연과 공생하는 경제발전 모델을 제시한다. 그는 우리가 신봉해 온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라는 미몽(迷夢)에서 깨어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인간개발지수’(HDI)나 ‘국내순생산’(NDP) 등을 다각도로 활용한 ‘녹색국민소득’이라는 새로운 지표의 가능성을 일깨운다. 한번 파괴된 생태계는 후손에게 고통과 비용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인류의 지속 가능성은 자연자본을 포함한 자본의 총량을 얼마만큼 미래에 전할 수 있느냐가 잣대가 된다. 이 책을 통해 자연을 자본으로 인식하는 것, 그것이 경제적 진보의 출발점이라는 걸 인식할 수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8-01-20 18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