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생각하세요? 경조사 봉투의 한자 표기

문성호 기자
업데이트 2018-02-15 10:45
입력 2017-10-21 13:23
이미지 확대
박모씨가 지난달 23일 서울 서초구의 한 결혼식장에서 올린 형 결혼식에서 축의금 접수대에 앉아 축의금 봉투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독자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식은땀이 줄줄 났어요…”

직장인 박모(32, 남)씨는 지난달 23일 형의 결혼식에서 겪었던 일을 떠올리면 지금도 얼굴이 화끈거린다고 말한다. 이날 축의금 접수대에 앉은 박씨는 간혹 축의금 봉투에 적힌 한자 이름 때문에 진땀을 뺐다.

박씨는 “제가 한자를 잘 모르는 게 첫 번째 문제였고, 두 번째는 아는 한자를 흘려 쓰시는 분들의 필체가 문제였다”며 “한자 이름이 적힌 축의금 봉투를 받고 읽지 못하는 경우, 상대에게 이름을 물어보기도 난감하다”고 말했다. 그래서 박씨는 급한 대로 접수대에 함께 앉은 친구와 함께 축의금 봉투와 기록지에 이중으로 번호를 표시했다.

박씨와 같은 사례는 사실 흔한 풍경이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가 늘면서 한자가 써진 봉투를 별도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식이 끝난 후 봉투를 보며 방명록과 함께 하나씩 이름을 비교해서 정리한다거나 한자를 따라 그리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한자를 잘 아는 어르신에게 부탁하기도 한다.

실제로 일부 커뮤니티에는 봉투에 적힌 이름을 몰라 사진과 함께 문의하는 글들이 올라오곤 한다. 한 커뮤니티 이용자는 “저는 서예를 오랫동안 해서 한문 적는 게 익숙한데도 흘려쓰기로 적는 건 도저히 모르겠다”면서 “축의금 봉투는 한글로 씁시다”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직장인 이모(34·여)씨는 “굳이 어려운 한자를 써야 할 이유를 잘 모르겠다. 한자를 잘 모르는 젊은 세대를 배려해 어르신들이 한글로 성함을 쓰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모(39·남)씨 역시 “이제는 한자를 모르는 젊은 세대가 많은 만큼 봉투에 한글로 이름을 적는 문화가 자리 잡기 시작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젊은 세대와 달리 봉투에 한자를 쓰는 노인 세대의 의견은 어떨까. 오모(73·남)씨는 “특별히 한문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다. 동명이인이 있을 때, 구분하기 쉽도록 쓰던 게 습관이 되었다”며 “젊은 사람들이 한글이 편하듯, 한자 세대인 우리는 한자로 이름을 쓰는 게 편할 뿐”이라고 답했다.

결론은 한글로 이름을 적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는 것도 아니고, 한자 사용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아니라는 의미다. 자연스럽게 세대가 벌어지면서 생기는 풍경이다. 이제는 공교육에서 한문 교육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다. 무식해서가 아니라 달라진 환경 때문에 모를 수도 있다는 얘기다. 경조사를 치를 때, 대부분 집안의 젊은 사람들이 접수대에 앉는다. 이제 젊은 일꾼들을 위한 ‘배려’ 차원에서 한글 이름을 쓰는 건 어떨까.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