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미도 공작원’ 20여명 46년 만에 안식처 찾았다

박홍환 기자
업데이트 2017-08-24 01:14
입력 2017-08-23 23:04

가혹 훈련에 이탈… 교전·사망

유해 방치 12년 만에 합동 봉안
이미지 확대
경기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군 제7지구 봉안소에서 23일 실미도 부대 공작원들의 합동 봉안식이 거행되고 있다. 실미도 부대는 북한 김일성 주석 제거를 위해 비밀리에 창설됐다. 공작원들은 부당한 대우 등에 반발해 집단행동을 하다 사망하거나 처형됐으며, 벽제 공동묘지에 가매장됐다가 이날 46년 만에 제대로 안치됐다.
연합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김일성 제거를 위한 북한 침투작전 훈련 중 부당한 대우 등에 반발해 1971년 8월 23일 군·경과 교전을 벌여 숨진 ‘실미도 부대’ 공작원들이 46년 만에 영면했다. 근 반세기 만이다.

국방부는 23일 “경기도 벽제에 신축한 군 제7지구 봉안소에서 오늘 오전 실미도 공작원 합동 봉안식을 군 장례 절차에 따라 엄숙히 거행했다”고 밝혔다. 실미도 공작원들의 추모 기일인 이날 12년 동안 임시 안치돼 있던 20명의 유해와 아직까지 유해를 찾지 못한 4명 가운데 2명의 위패가 함께 봉안됐다.

실미도 부대는 박정희 정부 때인 1968년 4월 1일 중앙정보부 주도로 공군 예하에 비밀리에 창설됐다. 영종도 부근 실미도에서 북한 침투작전 훈련을 받아 ‘실미도 부대’로 불려 왔다. 부대 창설은 같은 해 1월 21일 김신조를 비롯한 북한 무장공비 31명이 청와대 습격을 위해 서울로 침투한 이른바 ‘1·21 사태’가 계기가 됐다. 공작원 숫자도 북한 무장공비 31명에 맞췄다.

이미 영화를 통해 잘 알려졌듯이 가혹한 훈련이 이어졌다. 7명이 도중에 숨졌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훈련과 부당한 대우, 그리고 남북 관계 변화로 부대 유지 자체가 불투명해지자 나머지 24명은 1971년 8월 23일 집단행동을 감행했다.

기간병 18명을 살해하고 무장한 채 부대를 탈출한 이들은 버스를 빼앗아 서울로 향했다. 대방동까지 진출해 군·경과 대치하며 교전을 벌인 끝에 20명이 숨졌다. 경찰 2명과 시민 6명도 사망했다. 생존 공작원 4명은 군법회의에 회부돼 사형을 선고받고 이듬해 3월 10일 처형됐다. 이들의 존재는 곧 잊혀졌다.

이후 영화 ‘실미도’ 개봉으로 사회적 관심이 커지자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2005년 사건 재조사와 함께 벽제 공동묘지에 가매장돼 있던 20명의 유해를 발굴했다. 하지만 국방부와 유가족 간 안치 방식 등의 이견으로 12년 동안 유해는 사실상 방치돼 있었다. 사형이 집행된 4명의 유해는 아직 찾지 못했다. 국방부 측은 이날 미발굴 유해 4명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요청했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2017-08-24 27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