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절대평가 확대 해법 있나

유대근 기자
업데이트 2017-08-13 22:45
입력 2017-08-13 22:00

네 과목 절대평가, 상대평가 국·수 ‘사교육 풍선효과’

전 영역 절대평가, 1등급 1만 3000명… 변별력 논란

‘풍선효과와 변별력 논란을 극복할 수 있을까.’

절대평가 과목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2021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의 부작용을 두고 교사와 학생, 학부모 등 교육 주체들의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수능 평가 과목 7개 중 일부만 절대평가하는 1안과 국어, 수학, 탐구 선택과목까지 포함해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는 2안 모두 교육 현장에 불러올 역효과가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절대평가 안 돼”
“절대평가 안 돼” 12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주최로 열린 수능 절대평가 반대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수능 절대평가 반대를 요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들은 수능 절대평가가 곧 수시모집 증가와 학생부종합전형 강화로 이어진다면서 이는 결국 재력 있는 학부모를 가진 학생들에게 유리한 입시정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일부 확대땐 개편 취지 못살려”

최종안으로 채택 가능성이 높은 1안은 ‘사교육 풍선효과’ 우려가 크다.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만 절대평가를 하면 대학 입시의 변별력을 가를 상대평가 과목(국어, 수학, 탐구 선택과목) 공부에 열 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주요 과목에 더 힘을 실어 주는 안”(김영주 한성여고 연구진학부장)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렇게 되면 ‘수능 절대평가 도입→수험생 간 과열경쟁 방지→사교육과 학업 스트레스 완화’로 이어지는 변화를 만들겠다던 애초 수능 개편 취지를 살리지 못하게 된다.

실제로 2014년 교육부가 ’2018학년도 영어 절대평가’ 방안을 발표한 뒤 사교육은 다른 과목으로 옮겨 갔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영어 사교육비는 2015년 5조 8348억원에서 2016년 5조 5443억원으로 1년 새 5.0% 감소했다. 하지만 국어 사교육비는 같은 기간 4.3%(1조 848억원→1조 1318억원), 사회·과학은 4.8%(6703억원→7025억원) 되레 증가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1안이 채택되면 풍선효과를 막을 획기적 방법이 별로 없다”면서 “다만 대학들이 과목별 입시 반영 비율을 정할 때 수학 등 상대평가 과목 비중을 낮추면 약간의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확대 땐 중·하위권도 동점자 많아

전체 절대평가 전환인 2안이 채택되면 ‘변별력’ 우려를 피할 수 없다. 학생을 뽑아야 하는 대학에서는 “2안 도입 때는 수능으로는 당락을 가릴 수 없어 정시를 없애야 할 판”이라거나 “본고사가 부활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한선교 의원이 교육부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학년도와 2017학년도 수능 결과에 절대평가 방식을 적용해 전 영역 1등급을 받는 인원을 추산하면 4704명~1만 3289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2안대로 하면 상위권뿐 아니라 중하위권 대학에서도 동점자가 양산될 수밖에 없어 이를 보완해 제3의 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수능 등급에 내신 또는 면접 성적을 더하거나 수능 동점자에게 원점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등급제와 점수제 절대평가를 병행하면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국 “최종안 발표 때 후속 대책도”

교육부 관계자는 “1안에 따른 풍선효과 우려나 2안에 따른 변별력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면서 “최종안을 발표할 때 이런 걱정을 불식시킬 후속 대책까지 정리해 함께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7-08-14 10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