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웨이 조선] 내 마음속 영원한 대비는 혜경궁뿐이라오

업데이트 2017-07-17 18:22
입력 2017-07-17 17:56

(16) 천청색 적의

1795년 윤 2월 9일 창덕궁 안은 시끌벅적했다. 정조가 화성행궁으로 7박 8일의 여정을 떠나는 날이었기 때문이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묻혀 있는 현륭원(顯隆園)을 참배한 후 다음날 봉수당에서 회갑연을 하고자 했던 정조의 오랜 숙원이 이루어지는 첫날이다. 혜경궁과 사도세자는 동갑내기다. 부모님의 회갑연에 온 백성과 함께 축하 자리를 마련해 기억 속에 오래 간직하고 싶었으리라.
이미지 확대
적의(翟衣)는 조선왕실의 예복으로 왕비는 대홍색, 왕세자빈은 흑색이었으나 대한제국기에는 복색이 청색으로 바뀌었다. 사진은 대한제국기 영친왕비의 청색 적의. 황태자비는 9등, 황후는 12등의 꿩 무늬가 수놓아진 적의를 입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지금이야 회갑잔치를 한다고 하면 다들 낯설어하지만 조선시대에 회갑연은 보기 드문 큰 경사였다. 어버이의 회갑을 맞아 이를 축하하며 기쁨을 표시하는 것이 자식 된 도리라고 생각하던 시대였다. 그렇다고 모두 다 잔치를 베풀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정중하게 음식을 대접하며 술을 따라 올리는 정도는 서인들이 하는 일이고, 잔치를 마련해 내·외빈을 초청하는 것은 경대부들의 일이며, 정사를 보며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하는 것은 임금의 도리라 생각했다.

혜경궁의 회갑연을 위해 정조는 일찌감치 계획을 세웠다. 먼저 사도세자의 산소를 수원으로 모셔 와 현륭원이라 하였다. 그리고 매년 빠짐없이 현륭원을 찾아 참배했다. 수원부를 화성으로 승격시키고 중요한 지역으로 여기면서 성을 축조했다. 마침내 화성행궁이 모습을 드러내자 혜경궁을 모시고 와 백성과 함께 기쁨을 나누기로 하고 실행에 옮겼다.

정조가 혜경궁의 회갑연을 위해 가장 먼저 신경을 쓴 것은 그녀의 복색이었다. 왕실에서는 잔치가 벌어지면 대비를 비롯한 왕비, 왕세자빈 등은 모두 적의(翟衣·왕실의 여성 예복)를 입었다. 혜경궁도 적의를 입고 화성에 가서 회갑연을 받아야 하지만 그녀가 입을 적의의 색깔이 문제였다. 남편인 사도세자가 국왕이 되었다면 혜경궁도 왕비가 되어 대홍색(붉은빛) 적의를 입었을 것이며,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고 나면 자연스럽게 대비의 복색인 자적색(자줏빛)의 적의를 입었을 것이다. 그러나 혜경궁의 처지는 그렇지 못했다. 심지어 아들이 왕위에 올랐음에도 대비가 아닌 그저 자궁(慈宮)의 자리에 앉아야 했다.
이미지 확대
적의를 입은 영친왕비의 흑백사진(1922년).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정조도 이러한 어머니의 처지가 못내 마음이 쓰였나 보다. 화성으로 내려가기 전 대신들에게 혜경궁이 입어야 할 적의의 복색을 논의하도록 했다. 적의의 복색을 통해 혜경궁의 위상을 높여 주고자 하는 정조의 뜻이 담겨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대신들은 그러한 전례가 없다고 하며 뾰족한 해답을 내놓지 못했다. 이에 정조는 적의의 색으로 천청색(天靑色)을 제안했다.

“본시 청색은 동조(東朝·대비)의 복색이었으나 자색으로 제도를 정한 뒤부터는 치워 두고 쓰지 않았다. 지금 천청색으로 작정을 함은 곧 청흑(靑黑)의 의의를 취한 것인데 동조의 적의를 자색으로 하여 홍흑(紅黑)의 의의를 취한 것과 오묘하게 맞고, 또한 차등도 있게 된다. 이미 대신에게 물어보니 대신의 뜻도 그러하다 하므로 혜경궁의 복색을 천청색으로 정하라.”(정조실록 5권, 정조 24년 4월 26일)

정조는 혜경궁의 복색을 정함에 있어 옛것을 인용하고 지금의 것을 참조해 그 뜻에 맞게 정해야 한다고 했다. 대비가 입는 자색의 적의로 한다면 두 사람이 함께 자색을 입게 되어 맞지 않고, 흑색으로 한다면 원래 세자빈의 복색이라 혜경궁을 높이고자 하는 뜻을 반영하지 못한다. 대비가 홍색에 흑색을 합한 색의 적의를 입는 것처럼 혜경궁도 대비를 상징하는 색인 청색에 흑색을 반영한 천청색이 뜻에 맞다고 결론을 내렸다. 여기서 정조의 깊은 속마음이 읽힌다. 혜경궁이 궁에 처음 들어올 때의 복색은 세자빈의 복색인 흑색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왕의 어머니이다. 비록 대비는 아니라 할지라도 대비가 사는 거처를 상징하는 동조의 원래 색인 청색을 흑색과 합한 것으로 천청색으로 정해 그 의미를 표현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이렇게 되자 임금의 심중에 있는 대비는 혜경궁이라는 것이 만천하에 드러났다. 정조가 혜경궁을 높이고자 한 것은 비단 복색뿐이 아니다. 이미 혜경궁이 창덕궁으로 옮겨오기 전 위상에 맞는 의장을 준비하도록 했다. 또 정조가 즉위 후 처음 맞는 혜경궁의 탄신에 문무대관들에게 대전에 문안을 드리라는 명을 내린다. 본인이 혜경궁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대목이다. 더욱이 탄신 선물로 직접 표리(表裏·옷감)를 올리고, 백관을 거느리고 혜경궁에게 축하 인사를 드렸다. 이 모두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이처럼 의장과 복색으로 혜경궁을 높여 받드는 것은 혜경궁의 입지 및 위치를 단단히 해 주는 가장 의미 있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대비의 색인 청색을 섞은 이유. 그것은 정조의 마음속 영원한 대비는 혜경궁임을 만천하에 드러내는 또 다른 방식이었다.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선임연구원
2017-07-18 23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