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꼰대씨 송복이 말하는 나, 우리, 대한민국] 최상의 명예는 어디서 오는가

업데이트 2017-01-12 01:12
입력 2017-01-11 17:58

<7> 소수의 가치, 위신(威信)

아주 중요한 가치임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별로 익숙지 않은 말이 있다. 바로 위신(威信)이다. 위신은 영어로 ‘prestige’라 하는데, 한때 우리나라 사회학자들은 이를 위세(威勢)라 번역해 썼다. 위세는 위압(威壓)과 권세(權勢)의 준말로 prestige와는 거리가 먼 말이다. prestige는 위엄과 신망 혹은 권위와 덕망을 나타내는 우리말의 위신에 오차 없이 그대로 해당되는 말이다.

이미지 확대
매화의 꽃말은 ‘기품’과 ‘품격’이다.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워 봄을 먼저 알려주는 특성 때문에 예로부터 불의에 굴하지 않는 의로운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여겨졌다. 지도층이 추구해야 할 ‘위신’(威信)과도 일맥상통한다.
서울신문 DB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우리말에서 위신은 오래전부터 써오긴 했지만 일상 생활상의 용어였고 권력·재산과 대등한 위치에 있는 희소가치라는 개념은 없었다. 그러나 서구에서는 진작부터 권력(power), 재산(property)과 함께 위신(prestige)을 3p의 하나로 해서 사람이면 누구나 예외 없이 추구하는 사회적 희소가치로 생각해 왔다. 권력과 재산은 공기나 물처럼 그 양이 풍부하지 않음으로써 희소가치가 있다. 더구나 다른 누군가가 차지하면 내 권력, 내 재산은 싹 줄어든다. 그래서 권력과 재산은 언제나 사회적 쟁투를 유발하는 희소성을 띈다.

그렇다면 위신도 그러한가이다. 권력·재산에 비교될 만큼 사람들이 모두 열렬히 추구하는 희소가치냐이다. 권력과 재산은 갖지 못하거나 적게 가지면 불평하고 분심을 품고 많이 가진 자를 시의하고 규탄한다. 그리고 강한 차등감과 열등감, 심지어는 모멸감까지 느낀다. 문제는 위신도 그러하냐이다. 남에게 덜 존경받거나 전혀 존경받지 못한다 해서 분개하고 그리고 자기에게 명예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싸움을 벌이고, 반대로 존경받는 사람을 질시하거나 혐오하고 가능한 방법을 다 동원해서 그들을 깎아내리거나 매장하려고 하느냐이다.

위신에 관한 한 권력·재산과 달리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남으로부터의 존경이나 사랑, 명예 혹은 좋은 평판 등의 위신은 재산·권력만큼 소망하지도 갈망하지도 않는다. 위신이 떨어졌을 경우에도 권좌에서 물러난 사람만큼 비애를 느끼거나 재산이 축난 사람들처럼 안달하거나 밤잠을 못 이루는 것도 아니다.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힘만 있으면 되고 돈만 있으면 최고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다수를 차지하는 일반 사람들의 생각이고 삶이다.

# 위신의 희소가치 추구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그러나 절대로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권력보다, 재산보다 명예를 더 중시하는 사람들이 있다. 위신의 추락을 죽음보다 더 혐오하고 더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전통 사회에서는 군자(君子)라는 극소수의 사람들이 그러하다. 논어(語)에서는 “군자는 죽은 후 이름이 높이 칭송되지 않을까를 두려워한다”(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고 했다. 맹자(孟子)도 “명예를 중시하는 사람, 왕좌도 능히 사양한다”(好名之人 能讓千乘之國)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람은 극히 소수다. 극히 일부의 사람만이 권력이나 재산보다 명예·위신을 추구한다. 이 사람들이 바로 도덕적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고 도덕적 지표가 되는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의 발자취는 언제나 깨끗하다.

권력과 재산을 가지면 ‘높은 이름’도 따라오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물론 큰 권력이 많은 재산에 상응해 이름도 따라간다. 최상의 권력, 최고의 부를 가진 사람에게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존경이 따르는 이름, 높은 인격과 덕망, 도덕적 존엄이 함께하는 이름은 권력·재산과는 별개의 것이다. ‘참으로 훌륭하다’ ‘참으로 자랑스럽다’ 하는 이름은 권력·재산 없이도 얼마든지 갖는다. 이완용(李完用)은 권력과 재산을 가졌지만 ‘이름’을 갖지 못했다. 그 ‘이름’은 아무도 원하지 않는 이름, 오명(汚名)일 뿐이다. 김시습(時習)은 권력도 재산도 갖지 못했지만 훌륭한 이름을 남겼다. 대개의 사람들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이완용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황이 아무리 주어져도 김시습이 될 수 있는 사람은 아주 드물다.

그래서 위신은 권력·재산과는 판이하게 다르고 극히 소수의 사람, 지도층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극히 일부의 사람만이 추구하고 가질 수 있는 가치다. 이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바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가장 충실히 수행하는 사람들이다. 우리 역사에서는 이 사람들의 수가 너무 적다. 지금도 여전히 그 수는 잘 불어나지 않는다. 그것이 동양권 중에서도 중국과 한국의 공통점이다. 사회적 희소가치로서의 위신을 세우려 하는 사람이 드물고 드문 것만큼 존경받는 사람, 존경받는 집단, 존경받는 계급을 찾기도 어렵다. 사회적 희소가치로서의 ‘위신’이라는 말이 우리 사회에서 생소한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 선진국일수록 ‘존경·명예·감동의 이름’ 많아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위신을 세우고 위신을 가질 수 있느냐이다. 위신의 핵심은 존경과 명예다. 우선 존경을 받아야 한다. 존경을 받으려면 인격적으로 신망이 두텁고 도덕적이어야 한다. 부도덕한 명예가 없고 존경받지 않는 명예가 있을 수 없다. 예컨대 권력자가 권력을 획득해 가는 과정이나 권좌에 앉아 있을 때의 행적이 비도덕적일 때, 그들의 의식, 그들의 행태가 거짓과 술수로 가득 차 있을 때, 그들은 결코 위신을 세울 수 없다. 아무도 인격적으로 신뢰하지 않고 도덕적으로 존경하지 않기 때문이다.

부를 축적해가는 과정이나 부를 관리해가는 과정 또한 도덕성과 투명성에서 벗어나 있을 때, 그 부가 아무리 커도 사람들은 지탄한다. 인격적으로 신뢰하지 않고 도덕적으로 인정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높으나 높은 지위의 탑(塔)도, 크나큰 부의 성(城)도 위신이 없으면 그 탑, 그 성만으로는 명예가 되지 못한다. 이는 학자 문인 사상가 교육자 종교가의 경우도 하나도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의 업적, 밖으로 드러난 그들의 지위만으로는 명예가 되지 않는다. 그들의 인격, 그들의 도덕적 행적이 위신으로 구현될 때 비로소 사람들은 감동하고 존경한다.

심지어 노벨 평화상을 받은 사람도 수상과 함께 세인들의 지탄을 받고 그리고 세인들로부터 잊히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누가 일본의 어느 총리가 노벨평화상을 받았다고 기억하는가. 누가 이스라엘의 어느 총리, 팔레스타인의 어느 지도자가 노벨평화상을 받았다고 생각이나 하는가. 한때 그들의 이름이 아무리 드러나도 그들의 행적, 그들의 인격이 위신으로 연결되지 않는 한 사람들은 감동하지 않는다. 감동이 없는 것만큼 명성도 빨리 잊혀진다.

위신이 권력·재산과 다르게 사회적 희소가치가 되는 또 하나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감동(感動)이다. 그 감동은 흔히 말하는 대로 심금(心琴)을 울리는 감동이다. 심금은 마음의 거문고다. 이 마음의 거문고는 ‘감동’이라는 자극을 받으면 반드시 운다. 그것은 그들의 인격, 그들의 행적이 위신으로 구현될 때다. 권력자의 권력은 그 자체만으로는 사람들에게 절대로 감동을 주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재산가의 재산 또한 그 자체만으로는 사람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학자 문인 사상가들 또한 그들의 말만으로는 결코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없다. 오직 위신으로 구현될 때만이 사람들은 감동한다. 그래서 위신과 존경, 위신과 명예, 위신과 감동은 둘이 아니요 하나다. 그것은 둘이면서 오로지 분리될 수 없는 하나가 된다.

그러나 이 위신은 소수의 가치다. 어느 사회 없이 위신을 가진 사람 수는 많지 않다. 그것은 권력과 재산 가진 사람 수가 많지 않은 것과 같다. 설혹 그렇다 해도 어떤 사회는 상대적으로 훨씬 많이 가지고 있고 어떤 사회는 훨씬 적게 가지고 있다. 그것이 선진국과 후진국을 가른다. 선진사회일수록 명예로운 이름- 명성을 가진 사람이 많다. 바로 위신이라는 희소가치를 가진 사람이 많다는 말이다. 이런 사회일수록 전기물(傳記物) 또한 많다.

그 전기물은 위신 높은 사람들의 인격과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그런 사회일수록 젊은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그런 전기물을 읽으며 감동에 차서 자란다. 그렇게 해서 젊은이들 또한 그런 감동적인 행적과 인격을 쌓을 이상을 드높이 갖는다. 그 전기물들이 그들 젊은이들에게 후진국 젊은이들과는 다른 숭고한 이상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연세대 명예교수
2017-01-12 28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